생수병 속의 물 mL당 1억 개가 넘는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는 연구가 해외에서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나노플라스틱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mm) 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입니다.
생수 1리터에 평균 1억6600만개 나노플라스틱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 중국의 난카이 대학, 벨기에 헨트 대학 등 국제연구팀이 최근 생수 속의 나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한 논문을 환경과학기술 저널에 발표했는데 연구팀에서는 노르웨이 시중에서 유통되는 4개의 브랜드 페트병 포장 생수 제품을 구매해 실험을 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에서는 시료를 유리 섬유 필터 여과막으로 여과한 뒤 여과막을 통과한 물을 분석했했고, 또 여과막에 걸린 나노플라스틱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고 합니다. 분석 결과, 시료 1mL에는 나노플라스틱이 평균 1억6600만 개가 들어 있었고 나노플라스틱의 평균 크기는 88.2nm였다고 합니다.(아래사진)
성인 연간 120조개 나노플라스틱 섭취
성인이 하루에 물을 2리터 마신다고 가정하면 연간 120조 개의 나노플라스틱을 물을 통해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미세플라스틱 섭취 수준보다 훨씬 많은 숫자입니다. 크기가 1㎛ 이상이고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생수 1mL당 0.1~1만 개가 들어있고, 이를 1년 동안 마셨을 때 성인 기준 15만 개 정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취수원의 오염이나 제품 포장 과정에서 오염 가능
연구팀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생수병에 존재하는 나노플라스틱은 병 자체가 오염됐을 수도 있지만, 취수원의 오염이나 제품 포장 과정에서도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는데 식품용 나일론 봉지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코팅된 일회용 음료수 컵이 100도의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mL당 10억 개의 나노플라스틱 입자가 방출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번 실험에서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 검출을 위해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표면 강화 라만 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을 적용했다고 합니다.
댓글